|
적외선 체열 영상
진단 검사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한가지 이론은 정상
성인을 기준으로
볼 때 체열 분포
양상(Themrographic
Pattern)은 좌우가
항상 대칭적 양상(Symmetrical
Pattern)을 보인다는
것이며 미국 의학
협회(America Medicine
Association, AMA)에서도
적외선 체열 촬영
영상을 판독함에
있어서 양측의 체열
분포의 비대칭적
양상(Asymmetrical
Thermographic Pattern)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다루고 있다.
|
|
정상
생리를 보면 인체의
체온(Body Termperature)은
시상하부의 온도
조절 중추를 통한
귀환 기전(Feedback
Mechaninism)에 의해
유지되고 있고 신체의
양측에 동시에 밀접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체열분포가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정상적인
신체의 좌, 우측의
온도차이(Temperature
Difference, △T)는
평균 0.3℃ 이내로
되어 있다.
|
따라서 체열 분포의
심각한 비대칭적
양상을 보일 시에는
병적으로 간주되며
적외선 체열 영상의
임상진단에 있어서
이러한 임상적 의미를
갖는 온도 차이(Clinical
Temperature Difference)의
규명에 대해 그 동안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참조 Fig.6.
적외선 체열 영상진단
검사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의미를 갖는 온도
차이의 규명 - Clinical
Temperature Difference
in Medic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Fig. 6과 같이 Weinstein
SA는 양측의 피부
온도가 0.5℃ 이상
차이가 날 경우 임상적으로
중요한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1977년 Einsiedel-Lechtape
H. 등은 58명의 건강한
성인에서 양측의
온도차를 비교하여
1℃이상일 때 의미가
있다고 하였고 1981년
Wexler CE는 액정
체열 촬영 검사(Liquid
Crystal Contact
Thermography, LCT)를
이용 △T=1℃ 이상
일 때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
|
또한, Pochaczevsky
R., Merers PH.,
Epstein JA., Marc
JA. 등은 △T=0.6℃
이상, Goodman PH.
등은 △T=0.62℃
이상, Uematsu.,
Koikowski J. 등은
△T=0.3℃ 이상,
국내의 임상 의료진
등은 △T=0.5~0.7℃
이상의 차이를 보여야
만이 비정상적인
양상(Abnormal Pattern)으로
인정하고 있다.
|
적외선
체열 영상 진단 검사에
있어서 촬영된 영상에
나타나는 각각의
색상은 촬영부위의
절대적인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좌,
우측의 상대적인
온도분포를 나타내므로
검사일별로 촬영된
동일한 환자의 체열
영상에 대한 국소적인
온도 변화를 비교한다는
것은 옳지 못한 것이고
또한 적외선 체열
영상의 양상(Thermographic
Imaging Pattern)은
통증(Pain)의 양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통증 증후군(Pain
Syndrome)으로 인한
특징적인 체열 이상
양상(Thermal Dysfunction
Pattern)으로 야기된
병태생리적인 상태(Pathophysiologic
Condition)를 판단하는
것으로 검사에 있어서
정확한 비교는 검사
당일에 촬영된 체열
영상의 좌, 우측의
온도차이의 변화
및 체열 분포 양상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참조
Fig. 7. 통증 증후군에
있어서 적외선 체열
영상의 비정상적인
양상과 특징 - Summary
of Thermogram
Abnormalities and
Characteristics
in Pain Syndromes)
|
이상과 같이 적외선
체열 영상 진단 검사는
환자의 치료 및 수술
전, 후의 체열 촬영을
통한 양측의 온도
차이 및 체열 이상
양상의 존재의 유무가
진단의 기초적 자료로
이용되며 이를 통하여
치료의 효과, 병증확정
등을 판단해 볼 수
있다.
|
|
|
Einsiedel-Lechtape.
H
|
1℃↑
|
|
58명의
건강한
성인에서
좌,
우측의
온도차를
비교함.
|
|
Wexler
CE
|
1℃↑
|
|
액정
체열
촬영
검사(Liquid
Crystal
Contact
Thermography)를
시행하여
△T>1℃일
경우
비정상으로
판정.
|
|
Feldman.
F, Nickoloff.
EL
|
0.3℃↑
|
|
△T>0.3℃이고
상지에서
△T>1℃일
때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음.
|
|
Pochaczevsky
R. Merers
PH.
Epstein
JA.
Mark
JA.
|
0.6℃↑
|
|
△T>0.6℃일
때 비정상적
양상으로
인정함.
|
|
Goodman
PH.
|
0.62℃↑
|
|
△T>0.62℃일
때 비정상적
양상으로
인정함.
|
|
Uematsu
Kozikowski
J.
|
0.3℃↑
|
|
△T>0.3℃일
때 비정상적
양상으로
인정함.
|
|
Academy
of Neuromuscular Thermology(ANT)
|
0.8~1℃↑
|
|
신체
표면
영역의
25%에서
△T>0.8~1℃일
경우에
비정상적
양상으로
인정함.
|
|
국내
임상
의료진
|
0.5~0.7℃↑
|
|
△T>0.5~0.7℃일
때 비정상적
양상으로
인정함.
|
|
|
Fig.
6. 적외선
체열
영상
진단
검사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의미를
갖는
온도
차이의
규명 (Clinical
Temperature
Difference
in Medic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T*
= Clinical
Temperature
Difference
|
|
|
|